
4분기 한문철의 현장 속으로 정기안전 보건교육 기출문제 및 답 2
다음은 작업환경개선을 위한 인체측정에 대해서 설명한 것이다. 거리가 먼 것은?
1. 인체측정치를 이용한 설계를 해야 한다.
2. 평균치를 이용한 설계보다는 맞춤 설계를 해야 한다.
3. 조절 가능한 설계를 해야 한다.
4. 극단치를 이용한 설계를 해야 한다.
답: 2
다음은 작업환경 개선방법 중 작업표준 설정에 대한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
1. 새로운 기기 또는 설비 등을 도입하였을 경우에는 그때마다 작업표준을 재검토하여 작성한다.
2. 작업시간, 작업량 등을 정할 때에는 작업내용, 취급중량, 자동화 등의 상황, 보조기구의 유무,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수, 성별, 체격, 연령, 경험 등을 고려한다.
3. 컨베이어 작업 등과 같이 작업속도가 기계적으로 정해지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신체적인 특성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4. 야간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낮시간에 하는 동안 동일한 작업의 양보다 적은 수준이 되도록 조절한다.
답: 3
다음은 근골격계질환 3대 요인 중 집단적 작업환경 요인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작업과정보다는 사업장 전체 작업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노동환경
2. 인력, 작업시간 및 휴식시간
3. 고용형태, 작업조직, 신기술 및 신공정
4. 임금체계 등 주로 작업량과 관련 없는 요인
답: 4
다음은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유해요인조사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근로자와의 면담을 실시해야 한다.
2. 증상 설문조사를 해야 한다.
3. 인간공학적 측면을 고려한 조사해야 한다.
4. 조사방법은 선택할 수 없다.
답: 4
다음 중 큰소리를 설명한 것으로 맞는 것은?
1. 음압 낮음
2. 주파수 적음
3. 음압 높음
4. 진폭 작음
답: 3
다음 중 소음의 허용농도 기준으로 올바른 것은?
1. 1일 노출시간 4시간-100dB
2. 1일 노출시간 4시간-105dB
3. 1일 노출시간 1시간-100dB
4. 1일 노출시간 1시간-105dB
답: 4
다음이 설명하는 프로그램은?
근로자의 청력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음측정, 공학적 소음제어와 행정적 관리, 청력보호구 착용, 청력검사 및 의학적 판정, 보건교육 및 훈련, 기록보관 및 프로그램 효과 평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청력보존 프로그램
2. 소음방지 프로그램
3. 청력 프로그램
4. 감청 프로그램
답: 1
다음은 소음의 종류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연속음
2. 단속음
3. 충격음
4. 해체음
답: 4
다음은 소음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중 어떤 것에 대한 설명인가?
강한 소음에 단시간 또는 순간적으로 노출되어 발생하게 된다.
1. 음향외상성 난청
2. 일시적 청력손실
3. 영구적 청력손실
4. 일상적 청력손실
답: 1
다음은 소음방지대책 중 소음원 대책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발생원의 고소음화
2. 발생 원인의 제거
3. 처음 또는 음 제거
4. 방진 또는 제진
답: 1
댓글